icon_home

19_검색 엔진 최적화

메타 태그(meta tag)는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간에 상호 교환되는 정보를 정의하는데 사용하며,
웹페이지가 담고 있는 컨텐츠가 아닌 웹페이지 자체의 정보를 명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HTML 태그를 의미함

이러한 웹페이지의 메타 정보는 주로 HTML의 meta요소를 통해 마크업을 하며,
HTML 문서 내에서 head 요소 아래 배치되므로 일반 유저가 보게되는 웹페이지의 디자인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문서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고, 문서의 키워드는 무엇이며, 누가 만들었는지 등의 문서 자체의 특성을 담고 있음

반면에 검색엔진(네이버, 구글, 다음, 네이트...)과 같은 기계들이 웹페이지를 읽어야 할 때는
메타 태그의 내용들이 해당 서비스에서 어떻게 표시될지를 결정하는 매우 핵심적인 요소가 됩


1. SEO태그 _ title

검색엔진은 주기적으로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각 웹페이지가 어떤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을 하는데, 점점 지능적(AI)로 진화하고 있음
또한 어느 정도까지는 스스로 웹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파악 할 수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타 태그를 통해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좀 더 주도적으로 명시한다면 SEO(검색엔진 최적화)측면에서 유리함

메인 페이지의 경우 > 스타벅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의 겨우 > 로그인 페이지

서브페이지의 경우 > 스타벅스 신메뉴

2. SEO태그 _ meta

웹사이트의 제목만 예외적으로 title 요소를 사용하고, 그 밖에 다른 웹페이지의 메타 정보는 meta 요소를 사용하여 표현함

meta 요소를 사용 할 때는 name속성을 통해 메타 정보의 이름을 명시하고 content속성을 통해 메타 정보의 이름과 내용을 명시함

meta 태그의 3가지 속성

1. http-equiv="항목명" :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명령을 내리는 속성으로 nae 속성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HTML 문서가 응단 헤더와 함꼐 웹 서버로부터 웹 브라우저에 전송되었을 때에만 의미

2. content="정보값" : meta 정보의 내용을 지정함

3. name ="정보이름" : 몇 개의 meta 정보의 이름을 지정 할 수 있으며 지정하지 않으면 http-equiv와 같은 기능을 함

mata 태그의 종류

3. SEO태그 _ Open Graph

요즘에는 SNS와 메신저를 토앻 웹페이지의 링크를 공유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메타 태그가 좀 더 넓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대표적인 사례로 페이스북이나 카카오톡, 슬랙(slack)과 같은 앱에서 웹페이지의 링크만 입력하더라도 해당 웹페이지의 콘텐츠 미리보기를 카드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 있음

일반적으로 이러한 서비스들은 Open Graph 프로토콜이라고 불리는 업게 표준을 따라서 웹페이지 콘텐츠 미리보기를 지원하고 있음
따라서 우리도 Open Graph 프로토콜에서 정의하고 있는 메타태그를 적절히 사용하면 콘텐츠 미리보기에 원하는 내용을 표시되도록 어느 정도 제어를 할 수 있음

Open Graph의 태그 이름은 og: 로 시작

4. robots.txt

https://cafe.naver.com/uiuxweb

robots.txt는 웹사이트에서 크롤링하며 정보를 수집하는 검색엔진 크롤러(또는 검색 로봇)가 액세스 하거나 정보 수집을 해도 되는 페이지가 무엇인지, 해서는 안되는 페이지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txt(텍스트)파일임

robots.txt 파일은 검색엔진 크롤러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 수집을 하며 보내는 요청(request)으로 인해 사이트가 과부화되는 것을 바잊하기 위해 사용됨